고금리에 경고등… 보험·카드·증권사 부동산PF대출 연체 급증

보험사대출 연체 3개월 간 4배 증가, 은행·상호금융 감소
금융당국, 리스크 관리 및 손실 흡수 능력 확충 연일 강조

지난 7월 5일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신전문금융사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H T N>

13일 윤창현 국민의힘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보험사와 증권사, 카드사의 연체 잔액과 연체율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사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42조2천472억원으로 금융권에서 가장 많았고,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1천298억원이었다. 연체 잔액은 작년 말(305억원)의 4배 이상 수준으로 급증했다. 보험사의 부동산 PF 연체율도 3월 말 기준 0.31%로, 작년 말(0.07%)보다 0.24%포인트 급등했다.

다만 같은 기간 보험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감소했다. 고정이하여신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말한다. 3월 말 보험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잔액은 192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05로, 각각 작년 말보다 113억원, 0.02%포인트 떨어졌다.

3월 말 현재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조1천760억원,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24조6천675억원이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3월 말 기준 1천968억원으로, 작년 말(1천691억원)보다 1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3.7%에서 1.0%포인트 늘어난 4.7%로 집계됐다.

증권사는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보다 29.8% 늘어난 3천459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4%포인트 상승한 8.3%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26조7천289억원, 채무보증은 1천544억원이었다. 카드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도 6월 말 기준 2천289억원으로 작년 말(917억원)의 2.5배 수준으로 늘었다.

반면, 은행권과 상호금융권은 부동산 PF 연체율과 연체 잔액이 모두 감소해 상대적으로 건전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말 기준 은행권은 31조4천29억원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을 보유했는데, 연체 잔액은 전년 말(81억원)보다 16억원 감소한 65억원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0.02%로, 작년 말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은행권의 6월 말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작년 말보다 각각 1천89억원, 0.32%포인트 줄어든 209억원, 0.7%였다. 상호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조8천507억원이었다. 6월 말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43억원, 연체율은 작년 말과 유사한 수준인 0.09% 였다.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같은 기간 11억원 줄어든 64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02%포인트 하락한 0.13%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 등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등 잠재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연일 금융사들에 리스크 관리,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 확충을 강조하고 있다.

취임 후 2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부동산 PF 대출과 관련한 건전성 강화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지난 7월 여신전문금융사 최고경영자들과 만날 당시 “금감원은 모든 PF 대출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하는 등 기업 대출 실태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업계와 기업 여신 심사 및 사후관리 모범규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창현 의원은 “금리 인상에 경기 침체까지 더해져 부동산 가격 조정기가 길어질 전망”이라며 “금융당국은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금융사의 선제 자본확충을 점검하는 등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 H T 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