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시위, 南美 파라과이·페루 등…

기득권 부패, 사회·경제적 불평등 반발

▲남미 페루의 집회현장 / 로이터-연합<H T N>

29일(현지시각) 엑스(X·옛 트위터)와 페루 내무부 보도자료 등에 따르면 전날 파라과이 수도 아순시온에서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생)를 중심으로 한 청년들이 공공 서비스 부실과 일자리 기회 부족 등에 대한 공분을 표출하며 거리 행진을 했다.

국민 다수의 뜻이라는 점을 주장하는 ‘우리가 99.9%다’라는 구호 아래 시위대는 정치권 부패를 비판하며 국가 예산 투명성과 치안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일부 청년은 최근 다른 나라의 청년 주도 반정부 시위에서 ‘억압에 맞서는 상징’처럼 사용된 일본 애니메이션 ‘원피스’의 해적단 깃발을 들고나왔다고 현지 매체는 보도했다.

경찰과 시위대 간 물리적 충돌도 빚어졌다. 파라과이 경찰은 최루가스를 동원해 시위대 해산에 나섰고, 일부 참가자들은 돌을 던지며 이에 맞선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경찰관 8명이 다쳤고, 공무집행을 방해한 31명을 체포했다”고 밝혔지만, 경찰 진압 과정에서 피해를 본 시위자 숫자는 공개되지 않았다.

페루에서도 연금가입 의무화와 고용 불안정에 항의하며 정부와 국회를 규탄하는 Z세대 시위가 지난 27일 수도 리마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청년들은 경찰관을 향해 화염병과 폭죽 등을 투척했고, 경찰은 최루가스와 고무탄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관과 현장 기자를 포함한 최소 19명이 다쳤다고 현지 일간 엘코메르시오는 보도했다.

페루에서는 특히 그동안 정파적 이해득실에 따른 이전투구나 특정 원주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반발 등을 기화로 한 시위가 최근 주를 이뤘으나, 이번처럼 청년층을 중심으로 사회 불만을 집단·공개적으로 드러낸 건 다소 드문 상황이라고 밝혔다.

페루 사례 역시 파라과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청년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부패와 결핍을 방관하지 말자”는 취지의 의견을 교환하다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현상은 네팔,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필리핀, 마다가스카르 등 최근 목격된 Z세대 시위의 확산 양상과 유사하다.

<© H T 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