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훈 교수 “일본이라면 무조건 NO?… 욕먹을 각오로 쓴 ‘위험한 일본책'”

‘비판을 위한 비판’ 되어서는 안 돼…

▲위험한 일본책<H T N>

“한국인만큼 일본을 비판할 능력과 자격을 갖춘 사람들도 드물 것이다. 일본에 오랜 기간 고초를 겪었고 일본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판을 위한 비판’이 되어서는 안 된다. 피해의식에 기초한 일본 비난은 더 많은 사람을 장기간에 걸쳐 설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문 중에서)

서울대 역사학부 박훈 교수는 신간 ‘위험한 일본책'(어크로스)를 통해 한일 관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반일이면 무죄’라는 사람들에게 욕먹을 각오로 쓴 일본론”이라고 했다.

박 교수가 파악한 한국의 일본을 향한 관심은 다채롭다.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일본에 경쟁심을 불태우고 동향에 신경을 쓰며 자주 비교한다. 다만 과도한 관심에 비해 풍부한 지식과 정보에 기초한 체계적인 이해는 부족하다. 이 때문에 어떤 때는 일본을 과도하게 경시하다가도 또 어떤 때는 지나치게 일본을 무서운 나라로 본다.

가까운 나라, 판이한 문화의 한국과 일본은 어떻게 다른 길을 가게 되었을까?

박 교수는 “이런 심리의 근저에는 모르는 대상에 대한 공포와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대상에 대한 비하가 콤플렉스처럼 엉킨 채 자리하고 있다”며 “이같은 일본 인식으로는 한일 간에 얽힌 역사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가는 것도, 급변하는 지역 질서 속 협력과 경쟁의 파트너로서 지내는 것도 어려워진다”고 지적한다.

그는 일본이라면 무조건 “노!”를 외치고 “반일이면 무죄!”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막연한 적대감과 멸시로는 일본을 이길 수 없다며 일본 비판이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 © H T 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